어혈

과사용 및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 인한
통증, 염좌, 타박상, 만성 근육통,
신경 손상 등의 치료를 위해 한방 치료
(약침, 침, 뜸, 부항 등)가 활용됩니다.
자동차 보험(자동차 상해보험, 자동차 책임보험) 으로
어혈 약침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혈약침

중성어혈약침은 청열량혈(淸熱凉血) 및 활혈거어(活血祛瘀) 작용이 강화된 약침으로, 기체혈어(氣滯血瘀) 로 인한 통증과 마비 질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주요 구성 약재로는 치자, 현호색, 유향, 몰약, 도인, 적작약, 단삼, 소목 등이 포함된다. 주로 치료에 있어서 진통 및 신경재생, 요통, 경향통, 견비통, 요골신경마비, 안면신경마비 등 효과를 보인다.

출처: 중성어혈약침 치료에 대한 임상논문 고찰 –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통증 완화 효과

혈액순환 개선과 염증 완화를 통해 다양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근육, 관절, 신경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완화합니다.
  • 어혈이 해소되면 국소적 통증과 뻐근함이 개선됩니다.
  • 어혈약침은 활혈거어(活血祛瘀, 혈을 순환시키고 어혈을 없앰) 작용을 통해 염증을 감소시키고, 통증의 원인인 염증 반응을 억제합니다.
  • 좌골신경통이나 요골신경마비와 같은 신경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경항통, 요통, 어깨 통증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신경 재생 및 보호 효과

어혈약침의 주된 치료 메커니즘은 혈액순환 개선과 어혈 제거로, 이를 통해 신경 조직에 필요한 영양 공급과 손상된 신경 회복을 촉진합니다.

  • 혈액순환이 좋아지면 신경 조직에 대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개선되어, 신경 회복과 재생이 촉진됩니다.
  • 어혈약침은 어혈을 제거하고 기혈 순환을 촉진하여 신경 회복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 염증을 줄이면 신경 조직에 대한 손상이 감소하고, 신경 보호가 이루어집니다.
  • 신경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좌골신경통과 안면신경마비, 요골신경마비 등 신경 손상으로 인한 통증과 마비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조직 재생 및 회복 촉진

어혈약침은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돕는 데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혈액순환 개선, 어혈 제거, 염증 완화 등을 통해 손상된 조직에 필요한 영양 공급과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치유 과정을 촉진합니다.

  • 혈액순환이 개선되면 세포의 대사 기능이 활발해지고, 손상된 조직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어혈을 제거하고 기혈 순환을 촉진하여, 손상된 부위에 최적의 치유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세포 재생과 조직 회복을 촉진합니다.
  • 염증이 줄어들면 조직의 치유가 원활해지고, 회복 시간이 단축됩니다.
  • 손상된 조직이나 근육, 인대, 신경 등의 세포들이 빠르게 재생되고 복구되는 과정을 돕습니다.
  • 외상 후 회복, 관절염 등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염증 억제 및 면역 조절 효과

혈액순환 개선, 어혈 제거, 염증 완화 등의 작용을 통해 몸의 면역 시스템을 조절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다양한 질환에 치료 효과를 제공합니다.

  • 어혈약침은 활혈거어(活血祛瘀) 작용을 통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면역 반응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낮추어,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 체내 독소 제거에 도움을 주어 면역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돕고, 백혈구와 림프구 등의 면역 세포가 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관절염, 근염, 신경염 등 염증이 원인인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어혈약침은 중의학의 이론에 기초하여 발전하였습니다.
중의학에서는 기(氣)와 혈(血), 양(陽)과 음(陰),
그리고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균형을 중요시합니다.
어혈약침의 치료법은 고대 중국의 의학서적과 치료 이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황제내경(黃帝內經)과 같은 중국의 고전 의학서에서는
어혈에 대한 개념과 치료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치료 기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혈 약침의 적응 질환

경항통

  • 어혈 제거: 어혈을 제거하여 혈액순환을 원활
  • 기혈 순환 촉진: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어, 근육과 관절의 회복을 도움
  • 염증 완화: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
  • 근육 이완 및 통증 완화: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근육 경직, 불편함 완화
  • 자세 개선 및 기능 회복: 목과 어깨 부위 기능 회복, 근육의 긴장 상태를 풀어줌

요통

  • 어혈 제거: 혈액순환 개선, 통증을 유발하는 체내의 정체된 혈액을 풀어주는 효과
  • 기혈 순환 촉진: 허리 근육과 인대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통증을 완화하고 회복을 촉진
  • 염증 완화: 염증을 완화하고 염증성 물질을 감소시키는 효과
  • 근육 이완 및 통증 완화: 근육 이완에 도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
  • 신경 보호 및 재생: 신경의 회복을 도움, 신경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

뇌졸증 후

  • 어혈 제거: 뇌졸중 후 발생한 마비 증상이나 기능 저하 개선에 도움
  • 기혈 순환 촉진: 뇌에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 신경 재생을 촉진하고 기능 회복을 도움
  • 신경 재생: 손상된 신경을 회복, 신경 전도의 정상화를 도와, 마비나 운동 장애와 같은 증상 개선에 기여
  • 염증 완화: 뇌졸중 후 염증성 장애를 완화하고 회복 촉진에 도움
  • 신경 보호: 신경 보호 효과가 있어, 손상된 신경 세포의 재생을 도움

안면마비

  • 어혈 제거: 어혈 제거, 기혈 순환 촉진, 안면 신경의 회복을 돕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
  • 기혈 순환 촉진: 얼굴 근육과 신경의 회복을 촉진하고, 기능을 정상화
  • 신경 회복: 신경 재생을 촉진하고, 신경 손상 부위의 회복을 도움
  • 염증 완화: 염증성 물질을 제거, 회복 속도를 높이고, 통증을 감소에 효과적
  • 근육 이완 및 기능 회복: 얼굴 표정의 복원을 돕고, 근육의 움직임을 정상화

외상 후 견통

  • 어혈 제거: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도움
  • 기혈 순환 촉진: 어깨 부위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도록 도와, 어깨 근육과 인대의 회복을 촉진
  • 염증 완화: 어깨 부위의 붓기와 통증을 감소(염증성 물질 제거)
  • 근육 이완 및 경직 해소: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어깨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회복을 촉진
  • 신경 보호: 어깨 부위의 감각과 운동 기능 회복

요골신경마비

  • 기혈 순환 촉진: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경 손상 부위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여 신경 회복을 도움
  • 신경 재생 촉진: 손상된 요골신경이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신경 전도를 정상화시켜 마비 증상을 개선
  • 근육 이완 및 경직 해소: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켜 운동 범위를 늘리고, 마비된 팔꿈치나 손목의 움직임을 개선
  • 염증 완화: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고,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

심부정맥혈전증

  • 어혈 제거: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혈전이 더 이상 커지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도움
  • 기혈 순환 촉진: 정맥 혈류를 개선하고, 혈전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
  • 염증 완화: 붓기를 줄여, 환자의 통증과 불편감을 경감시키는 데 효과적
  • 혈전 용해: 기혈 순환 촉진과 어혈 제거가 이루어지면, 혈전이 자연스럽게 분해되고, 혈액 흐름이 개선
  • 정맥 기능 회복: 정맥벽의 건강을 돕고, 혈류가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도움

안면견갑상완형 근이영양증

  • 어혈 제거: 혈액 순환 촉진, 근육으로 영양 공급 증가로 위축 속도 완화에 도움
  • 기혈 순환 촉진: 신경과 근육의 혈액 공급 증가, 근육 재생 촉진으로 운동기능 보존
  • 염증 완화: 근육 퇴화 원인인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조절로 근육 손상 속도 감소에 도움
  • 근육 재생 촉진: 근육 퇴행 과정 지연, 새로운 근섬유 성장 유도로 근육 재생을 돕고 위축 방지/li>
  • 정맥 기능 회복 및 신경 재생: 근육으로 가는 혈액량 증가로 근육과 신경을 보호하여 퇴행 지연

어혈약침 추출방법

어혈약침은 추출 과정에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한 증류법이나 초임계 추출법을 활용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며, 이후 저온 진공 농축을 통해 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농축합니다. 이후 멸균 여과 과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며, 정제된 성분은 인체에 적합한 pH(약 7.0~7.4)로 조정된 후, 무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멸균된 용기에 충진됩니다.

제조된 어혈약침은 품질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의 분석법을 활용하여 유효 성분을 확인하고, 미생물 오염 여부 및 내독소, 중금속 검사 등을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어혈약침은 혈액순환 개선과 염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하며,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조됩니다.

어혈약침 논문정보

발행정보 / 논문제목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6;9(1):83-94 / 중성어혈약침이 자궁내막증 백서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1;14(2):45-52 / 요통환자에서 중성어혈 약침 사용 용량에 따른 효과

어혈 약침의 장점

  • 근육, 인대, 신경 등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통증을 빠르게 줄임
  • 근본적인 원인(어혈) 제거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의 재발 방지
  • 요골신경마비, 안면신경마비 등 신경 재생 촉진
  • 좌골신경통, 염좌, 골절 회복을 돕고 회복 기간 단축
  • 화학약품이 아닌 천연 성분을 활용해 장기적인 사용에도 부담이 적음
  • 스테로이드 주사와 달리 반복 사용해도 부작용이 적음
  • 관절염, 근육 염증 등 만성 염증 질환 개선
  • 혈류 개선을 통해 면역 기능 정상화
  • 다양한 질환에 활용 가능

어혈 약침 시술 부위 및 방법

출처: 약침임상실습지침서(사단법인 약침학회)

(각 제목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흉곽 출구 증후군

설명: 상견갑대와 첫 번째 늑골 사이의 좁은 간격(흉곽출구)을 통과하는 상완신경총, 쇄골하 동정맥 등의 구조가 압박되어서 목, 어깨,팔, 손에 영향을 주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약침

< 시술방법 >
주로 천유 (天牖, TE16)・기사 (氣舍, ST11) 부위에 병변이 있으므로 압통점을 확인하여 시술한다.
앙와위 (仰臥位)에서 고개를 돌려 목 주위 근육인 사각근, 소흉근, 쇄골하근 등의 아시혈을 촉지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어깨 관절염

설명: 어깨 관절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으로 어깨의 앞 뒤 부위 촉진시 압통이 있으며 천천히 어깨를 회전시키거나 굴곡 시킬 때 마찰음이 발생한다. 능동적 관절운동과 수동적 관절운동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노수 (臑兪, SI10) 부위에서 아시혈을 찾아 시술한다. 아시혈은 견봉 (肩峰, acromion)의 후외곽 (post angle of acromion) 아래 1.5~2 ㎝ (약 1寸) 부위에서 주로 촉지된다. 어깨 앞쪽의 운문 (雲門, LU2) 부위 (오구돌기 coracoid process)를 향해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시술한다.

요천추부 염좌

설명: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요부 근육의 좌상과 요부의 염좌를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BUM

< 시술방법 >
요양관 (腰陽關, GV3) 하단의 극돌기 (Spinous Process) 아래 압통점 (요추 5번과 천추 1번 사이)을 찾아 직자 (直刺) 한다.

이상근 증후군

설명: 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비대해져 다리쪽으로 가는 좌골신경을 압박해 엉덩이의 뒤쪽과 다리부위에 통증, 저림, 땡김, 이상감각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BUM

< 시술방법 >
환자를 측와위 (側队位)에서 고관절과 슬관절을 굴곡시키고 대전자 (大轉子, Greater Trochanter) 상방에서 대좌골공 (大坐骨孔, Greater Sciatic Foramen)의 상부 끝을 잇는 이상근선 (Piriformis Line)을 그은 후 3등분하여 시술점을 정한다. 통상적으로 환도 (環跳, GB30)과 인근 아시혈 (阿是穴)을 시술점으로 한다. 이 두 군데에 천천히 直刺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내측상과염

설명: 팔꿈치의 안쪽 돌출된 부위인 팔꿈치 관절에 흔히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골프를 할 때 주로 통증이 발생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 (仰臥位)에서 팔꿈치의 내측상과 부위 소해 (小海, SI8) 부위에서 압통점을 촉진한 다음, 바늘을 수직으로 뼈에 닿을 때까지 자입한 뒤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외측상과염

설명: 팔 관절과 손목에 무리한 힘이 주어져 팔꿈치 관절 주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仰臥位)에서 팔꿈치를 90°정도 굴곡시킨다. 곡지 (曲池, LI11)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상과부를 촉지하여 압 통점을 찾아 바늘을 수직으로 뼈에 닿을 때까지 자입한 뒤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무릎 관절염

설명: 무릎 관절은 몸의 거의 모든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손상이나 골관절염에 가장 취약한 관절로 해당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에서 무릎을 완전 신전시킨다. 슬개골 내측면의 중간 부위에서 관절 사이로 바늘을 자입한다.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관절강 주위(內膝眼과 外膝眼)에서 약침을 시술한다.

슬개골상방 점액낭염

설명: 슬개골 바로 위에서부터 대퇴사두근 밑까지 이어져 있는 점액낭으로 슬개골 상방의 국소 통증 및 부종을 발생시키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대퇴사두근건 밑에 슬개골상방 점액낭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내측 또는 외측의 윗모서리에서 대퇴사두근 건 밑을 항하여 압진하여 압통점을 찾고 대퇴사두근건 밑으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슬개하건염

설명: 슬개골 아래부위에 슬개골과 정강이 뼈를 연결하는 힘줄의 부상 혹은 염증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슬개골 하방에서 슬개하건부의 대퇴골 접합부를 촉지하여 아시혈을 찾는다.
슬개하건부 중앙부에서 대퇴골 접합부의 뼈에 닿도록 상방으로 바늘을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거위발 점액낭염

설명: 거위발 건은 봉공근, 박근, 반건양근의 힘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거위발 건이 경골에 부착되어있는 곳의 바로 아래에 거위발 점액낭이 위치하고 해당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에서 무릎을 약간 굴곡시킨 다음, 음릉천 (陰陵泉, SP9) 부위에서 아시혈을 찾는다. 그 아시혈에서 경골을 향해 45°의 각도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아킬레스 건염

설명: 아킬레스건은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원위부가 합쳐져 종골에 부착하며 이곳에서 발생한 염증성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자하거

< 시술방법 >
복와위 (腹臥位) 자세에서 환측 (患側) 발을 부드럽게 족배굴곡 (Dorsiflexion) 시킨다. 비복근의 종골 부착부와 종 아리 근육쪽 방향으로 5 ㎝ 이내의 근건접합부(Musculotendinous Junction)에서 아시혈을 찾는다. 아시혈에서 直刺로 약침을 시술한다.

족저근막염

설명: 직접적이고 반복적인 충격이 발뒤꿈치에 가해져 생긴 족저근막의 염증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홍화

< 시술방법 >
복와위에서 족배굴곡 (Dorsiflexion)시킨 상태에서 족저 종골의 경계면을 촉지한다. 종골 경계면에서 아시혈을 찾 아 종골을 향해 45°각도로, 종골 중심을 향해 내측 45°각도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한다. 바늘이 종골에 닿으면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전거비인대 염좌

설명: 전거비인대는 비골과 거골을 이어주는 전방인대로 해당부위에 염좌가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자하거

< 시술방법 >
구허 (丘墟, GB40) 부위에서 압통점을 촉지하여 아시혈을 찾는다.
압통점에서 비골을 향해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 시술 후 주의사항 ※

1. 약침을 맞고 30초 정도는 일시적으로 뻐근할 수 있습니다.
2. 다음과 같은 경우 몸살증상과 경혈에 통증 또는 발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 적정량을 넘어서 주입되었을 경우
    1. – 병증과 맞지 않았을 경우
    1. – 시술 부위에 2차 감염이 있을경우

※ 대처법 ※

1. 진료 후 몸살이 오면 증상에 맞는 한약복용, 온욕등을 통한 대처방법을 취한다.
2. 경혈이 심하게 아플경우 약간의 사혈을 해주면 통증이 호전될수 있다. (사혈시 2차감염주의)

“약침의 새로운 기준, AJ탕전원에서 시작됩니다”

AJ탕전원(약침)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