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eet BV(SBV)

Sweet BV

Sweet BV(SBV) 약침은 봉독에서 단백질 분리기법을 이용하여 순수 melittin을 추출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효소를 제거하여 만든 정제된 봉독 약침입니다. 전통적인 봉약침의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안전성을 높인 치료법입니다.

〈 정제의 원리 〉

봉독에서  melittin을 정제하는 원리는 gel filtration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기법입니다. 분자량 10,000 이하만 들어갈 수 있는 gel 속에 봉독을 통과시키면 10,000 이상의 크기인 효소가 먼저 통과하여 밖으로 나오고 크기가 작은 peptide는 뒤에 나오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순수 melittin만 분리한 봉독이 바로 Sweet BV 입니다.

SBV 약침의 효능

진통 및 소염 작용 

멜리틴 등의 성분이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면역 조절

면역계를 조절하여 자가면역 질환 등의 증상을 개선합니다.

향균 및 항산화 작용

세균 억제 및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기여합니다.

Sweet BV(SBV) 약침은
벌독의 항염·항산화 및 면역 조절 효과를 활용해
다양한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입니다.

 SBV 약침의 적응 질환

근골격계 질환

  • 요통/요추부 염좌: 허리 통증과 염좌로 인한 불편함 완화에 도움
  • 퇴행성 관절염: 관절의 퇴행으로 인한 통증/염증 완화에 도움
  • 근막동통증후군: 근육의 통증 유발점을 치료 / 통증 경감에 도움
  • 테니스 엘보(외측 상과염): 팔꿈치의 통증/염증 완화에 도움

신경계 질환

  • 좌골신경통: 항염 및 진통효과 기대
  • 중풍 후유증: 뇌조직의 염증 완화와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
  • 척수 신경 손상: 염증 완화와 혈액 순환 개선, 신경 재생 촉진을 도모

자가면역 질환

  • 류마티스성 관절염: 관절의 염증 반응을 완화,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에 도움
  • 강직성 척추염: 염증 완화와 증상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 기대

그 외 질환

  • 만성 피로: 체내 염증을 줄이고,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함으로써 피로 회복에 도움
  • 천식: 항염 및 면역 조절 효과를 활용하여 기도 내 염증을 완화하고, 증상 개선에 도움
  • 부인과 질환: 항염 및 면역 조절 효과를 활용하여, (예:월경통, 자궁내막증) 등 염증과 관련된 부인과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
  • 갱년기 장애: 갱년기 증상의 완화와 신체 균형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임상사용법

순수 봉약침과 비교하여 과민반응 또는 알레르기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고용량으로 시술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상태나 질병에 따라 초기에 0.4~0.2㎖를 시작으로 하여 점차 증량합니다.

통증과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

SBV는 신경계, 면역계, 혈관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쳐 통증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합니다. 또한, 단순한 통증 치료를 넘어 염증 조절, 신경 보호, 면역 조절을 동시에 수행하는 강력한 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봉독에서 melittin의 분리 · 정제방법

Sweet BV(특허 제10-0744755)란 봉독에서 가장 주된 성분인 melittin을 순수 분리 · 정제하여 만든 약침액입니다. 단백질 분리기법의 과정을 통해 순수 melittin만 분리한 봉독이 남게 됩니다.

출처: 약침학 교과서(Third Edition)

SBV의 장점

  • 국소 알레르기 반응이 봉약침에 비해 현저히 저하됨
  • 전신 · 즉시형 과민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
  • 중증 환자의 고용량 시술이 초기부터 가능함
  • 거의 모든 경혈에 사용 가능함
  • 치료기간이 단축됨
  • 치료효과가 봉약액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더욱 우수함
  • 난치성 질환에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함

SBV 시술 부위 및 방법

출처: 약침임상실습지침서(사단법인 약침학회)

(각 제목을 클릭하면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흉곽 출구 증후군

설명:  상견갑대와 첫 번째 늑골 사이의 좁은 간격 (흉곽출구)을 통과하는 상완신경총, 쇄골하 동정맥 등의 구조가 압박되어서 목, 어깨, 팔, 손에 영향을 주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약침

< 시술방법 >
주로 천유 (天牖, TE16)・기사 (氣舍, ST11) 부위에 병변이 있으므로 압통점을 확인하여 시술한다.
앙와위 (仰臥位)에서 고개를 돌려 목 주위 근육인 사각근, 소흉근, 쇄골하근 등의 아시혈을 촉지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견봉쇄골관절 통증

설명:  견봉쇄골관절부분이 외상 혹은 퇴행성 병변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거골 (巨骨, LI16)과 견봉 말단의 중간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곳이 견봉 (肩峰, acromion)과 쇄골 (clavicle)의 접합부인 견봉쇄골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AC Joint)이다. 이는 견봉(肩峰) 외측에서 1~2 ㎝ 정도 안쪽에 위치한다. 쇄골의 외측 끝부분에서 견봉쇄골관절 (AC Joint)의 관절선에 있는 아시혈을 찾아 관절 내로 천천히 직자 (直刺)하여 시술한다.

견봉하점액낭염

설명: 견봉하 점액낭염은 견관절활동이 많을 때 어깨 주위의 근육이 움직이면서 윤활 역할을 하는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척유약침

< 시술방법 >
견봉과 상완골 사이를 벌어지게 하기 위해 앉은 자세에서 팔을 옆구리에 붙이고, 견봉 외측 가장자리를 촉지한 다음 바로 그 밑에 시술한다. 견봉아래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점액낭에 접근한 다음 약침을 시술한다.

어깨 관절염

설명: 어깨 관절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으로 어깨의 앞 뒤 부위 촉진시 압통이 있으며 천천히 어깨를 회전시키거나 굴곡 시킬 때 마찰음이 발생한다. 능동적 관절운동과 수동적 관절운동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노수 (臑兪, SI10) 부위에서 아시혈을 찾아 시술한다. 아시혈은 견봉 (肩峰, acromion)의 후외곽 (post angle of acromion) 아래 1.5~2 ㎝ (약 1寸) 부위에서 주로 촉지된다.
어깨 앞쪽의 운문 (雲門, LU2) 부위 (오구돌기 coracoid process)를 향해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시술한다.

극상근 건염

설명: 극상근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은 회전근개손상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질환으로 어깨관절의 반복적인 과 다사용으로 발생하며, 외전시 강한 통증이 발생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견우 (肩髃, LI15) 아래 부위에서 압통점을 찾는다. 앉은 자세에서 팔을 등 뒤로 45°정도 내회전 시키면, 견봉 (肩峰) 바로 전방에 아시혈 (阿是穴)을 촉지할 수 있는데, 이 부위를 찾아 약침을 시술한다.

견갑하근 건염

설명: 견갑골의 전내면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소결절에 종지하는 견갑하근에 건염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전환을 회외시키고 상완을 외전 시킨 결절간구 확인 후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완골의 소결절 (Lesser Tubercle)에 서 아시혈 을 찾아 천천히 직자 (直刺)하여 시술한다.

이두근 건염

설명: 주로 상완이두근의장두에서 발생하며, 어깨관절의 반복적인 과다사용이나 격렬하고 반복적인 회외동작, 넘어질 때 팔을 짚으면서 발생된 결절간구내 이두근건 장두의 손상 등으로 발생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肩前穴에서 압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견우 (肩髃, LI15)와 액와 (腋窩) 전면부 주름의 중간 부위에 해당된다.
肩前穴 부위에서 압통점을 확인한 뒤 그 곳에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흉요추 접합부 증후군

설명: 흉추 12번과 요추 1번 사이에 위치한 위수 (胃兪, BL21) 내측 후관절 부위, 즉 독맥경 (督脈經) 외측 2 ㎝ (약 1寸)에 서 압통점을 찾아 약침을 시술한다. 이 부위뿐 아니라, 흉추 10번에서 요추 1번까지 후관절 부위의 압통점을 모두 확 인해서 약침을 시술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오공약침

< 시술방법 >
흉요추접합부 (흉추10번-11번, 흉추11번-12번, 흉추12번-요추1번) 부위 문제로 하부 요통, 서혜부와 생식기 부위의 통증, 대퇴 측면의 대전자 부위에서의 통증이 특징적인 질환이다.

요추부 후관절 증후군

설명: 요추부의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과도한 체중, 운동이나 힘든 일 등의 과사용, 통풍이나 관절염 등으로 후관절을 지배 하는 감각신경이 자극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요추의 후관절 (Facet Joint)은 극돌기 (Spinous Process) 사이에서 외측으로 2~2.5 ㎝ 정도, 깊이는 4 ㎝ 정도에 위치한다. 환측 (患側)에 해당하는 후관절에서 천천히 직자 (直刺)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요천추부 염좌

설명: 요통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요부 근육의 좌상과 요부의 염좌를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BUM

< 시술방법 >
요양관 (腰陽關, GV3) 하단의 극돌기 (Spinous Process) 아래 압통점 (요추 5번과 천추 1번 사이)을 찾아 직자 (直刺) 한다.

이상근 증후군

설명: 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비대해져 다리쪽으로 가는 좌골신경을 압박해 엉덩이의 뒤쪽과 다리부위에 통증, 저림, 땡김, 이상감각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BUM

< 시술방법 >
환자를 측와위 (側队位)에서 고관절과 슬관절을 굴곡시키고 대전자 (大轉子, Greater Trochanter) 상방에서 대좌골공 (大坐骨孔, Greater Sciatic Foramen)의 상부 끝을 잇는 이상근선 (Piriformis Line)을 그은 후 3등분하여 시술점을 정한다. 통상적으로 환도 (環跳, GB30)과 인근 아시혈 (阿是穴)을 시술점으로 한다. 이 두 군데에 천천히 直刺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내측상과염

설명: 팔꿈치의 안쪽 돌출된 부위인 팔꿈치 관절에 흔히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골프를 할 때 주로 통증이 발생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 (仰臥位)에서 팔꿈치의 내측상과 부위 소해 (小海, SI8) 부위에서 압통점을 촉진한 다음, 바늘을 수직으로 뼈에 닿을 때까지 자입한 뒤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외측상과염

설명: 팔 관절과 손목에 무리한 힘이 주어져 팔꿈치 관절 주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仰臥位)에서 팔꿈치를 90°정도 굴곡시킨다. 곡지 (曲池, LI11)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상과부를 촉지하여 압 통점을 찾아 바늘을 수직으로 뼈에 닿을 때까지 자입한 뒤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손목 터널 증후군

설명: 손목 앞쪽의 수근관이 좁아지면 정중신경이 눌려서 정중신경 지배 영역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오공, 홍화, Sweet BV, 봉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에서 손을 펴고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다. 대릉 (大陵, PC7) 부위에서 수장장근 (Palmaris Longus)의 척측 (尺側)을 따라 바늘을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수족냉증

설명: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상태를 수족냉증이라고 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 시술방법 >
수족냉증과 같은 질환에 있어서 팔사혈 (八邪穴)・팔풍혈 (八風穴)에 시술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협착성 건초염

설명: 손목의 요측에서 요골과 후방 수근인대에 의해 형성되는 제1구획을 통과하는 장무지 외전건과 단무지외전건의 포 착성 건막염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오공

< 시술방법 >
엄지손가락을 약간 굴곡 시키고 손목을 척골(尺骨)측으로 편위시킨 자세를 한 다음, 열결 (列缺, LU7)에서 압통점 을 찾는다. 이후 열결 (列缺, LU7)에서 주입기의 바늘을 평행으로 천천히 자입한 다음 약침을 시술한다. 또한 양계 (陽谿, LI5) 부위에서도 통증이 있다면 같이 시술한다.

방아쇠 손가락

설명: 손가락을 구부릴 때 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저항감이 느껴지는 질환으로 손가락 신전시 걸리는 느낌이 발생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 시술방법 >
환자의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뒤에, 손가락의 수근중수지골관절 (Carpometacarpal Joint, CMC) 위치를 확인한 다음 결절 (nodule) 부위의 아시혈을 찾는다. 원위부 (손가락 쪽)를 향해 약 45°의 각도로 압통이 있는 결절 약간 뒤에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한 다음 약침을 시술한다.

무릎 관절염

설명: 무릎 관절은 몸의 거의 모든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손상이나 골관절염에 가장 취약한 관절로 해당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에서 무릎을 완전 신전시킨다. 슬개골 내측면의 중간 부위에서 관절 사이로 바늘을 자입한다.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관절강 주위(內膝眼과 外膝眼)에서 약침을 시술한다.

슬개골상방 점액낭염

설명: 슬개골 바로 위에서부터 대퇴사두근 밑까지 이어져 있는 점액낭으로 슬개골 상방의 국소 통증 및 부종을 발생시키는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대퇴사두근건 밑에 슬개골상방 점액낭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내측 또는 외측의 윗모서리에서 대퇴사두근 건 밑을 항하여 압진하여 압통점을 찾고 대퇴사두근건 밑으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슬개하건염

설명: 슬개골 아래부위에 슬개골과 정강이 뼈를 연결하는 힘줄의 부상 혹은 염증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슬개골 하방에서 슬개하건부의 대퇴골 접합부를 촉지하여 아시혈을 찾는다.
슬개하건부 중앙부에서 대퇴골 접합부의 뼈에 닿도록 상방으로 바늘을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거위발 점액낭염

설명: 거위발 건은 봉공근, 박근, 반건양근의 힘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거위발 건이 경골에 부착되어있는 곳의 바로 아래에 거위발 점액낭이 위치하고 해당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 시술방법 >
앙와위에서 무릎을 약간 굴곡시킨 다음, 음릉천 (陰陵泉, SP9) 부위에서 아시혈을 찾는다. 그 아시혈에서 경골을 향해 45°의 각도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아킬레스 건염

설명: 아킬레스건은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원위부가 합쳐져 종골에 부착하며 이곳에서 발생한 염증성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자하거

< 시술방법 >
복와위 (腹臥位) 자세에서 환측 (患側) 발을 부드럽게 족배굴곡 (Dorsiflexion) 시킨다. 비복근의 종골 부착부와 종 아리 근육쪽 방향으로 5 ㎝ 이내의 근건접합부(Musculotendinous Junction)에서 아시혈을 찾는다. 아시혈에서 直刺로 약침을 시술한다.

족저근막염

설명: 직접적이고 반복적인 충격이 발뒤꿈치에 가해져 생긴 족저근막의 염증을 말한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오공, 홍화

< 시술방법 >
복와위에서 족배굴곡 (Dorsiflexion)시킨 상태에서 족저 종골의 경계면을 촉지한다. 종골 경계면에서 아시혈을 찾 아 종골을 향해 45°각도로, 종골 중심을 향해 내측 45°각도로 바늘을 천천히 자입한다. 바늘이 종골에 닿으면 약간 후퇴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전거비인대 염좌

설명: 전거비인대는 비골과 거골을 이어주는 전방인대로 해당부위에 염좌가 발생한 질환이다.

< 약침 약물 선택 >
Sweet BV, 봉약침, 소염약침, 어혈약침, 자하거

< 시술방법 >
구허 (丘墟, GB40) 부위에서 압통점을 촉지하여 아시혈을 찾는다.
압통점에서 비골을 향해 바늘을 천천히 자입하여 약침을 시술한다.

SBV/봉약침 종류

< BV >

희석농도: 10,000:1 / 10%
0.0002g / 1bial

< Sweet BV Plus >

희석농도: 5,000:1 / 20%
0.00004g / 1bial

< Sweet BV Safe >

희석농도: 100,000:1 / 1%
0.00002g / 1bial

< 봉약침 >

순수 봉독 4,000:1 / 25%
0.0005g / 1bial

*SBV Safe(1/10배) < SBV < SBV Plus(2배)

“약침의 새로운 기준, AJ탕전원에서 시작됩니다”

AJ탕전원(약침)

Leave a Reply